혈압 160 정도면 나타나는 증상

반응형

한국인이 주의해야할 질환중 하나가 바로 고혈압인데요, 과거에는 평균 40대이상이 되어야만 나타나는 증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20~30대에서도 간혹 나타나는데요, 이것은 한국사회의 문제도 있고 사람들의 생활습관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혈압은 우리 몸의 건강지수를 나타내는 지표중 하나로서 3개월마다 확인을 하고 관리를 해줘야합니다.

 

고혈압이란?

 

 

고혈압이란 정확히 어떤것을 뜻할까요? 고혈압은 혈압을 측정하였을때 수축기 수치가 140이상이거나 이완기 수치가 90을 넘을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하는데요, 이것은 꼭 전문 의료장비가 아니더라도 가정에서 간이 혈압기로도 충분히 측정이 가능합니다.

 

 

전자혈압기의 경우 135이상이거나 이완기가 85이상일때 고혈압으로 판단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병원에서 측정한것과 크게 차이는 없으나 약 5정도 수치가 차이납니다. 만약 두가지중 하나만 수치가 높다고해도 고혈압이니 안심해서는 안됩니다.

 

고혈압 원인

 

 

 

고혈압을 진단받으면 가장 먼저 왜 걸렸는지 왜 하필 나인지 의심을 하게 됩니다. 고혈압은 실제로 90%이상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수 없다고하는데요, 10%정도만이 원인을 알 수 있는 이차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은 한가지 이유가 아닌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가족력을 확인하는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가족력이 없다면 갑자기 살이 찌거나 짜거나 달게 먹는 습관, 운동부족 및 스트레스등으로 고혈압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혈압 160 정도면 나타나는 증상

 

 

최근 친동생이 무심코 혈압 측정을 했다가 160이 나와서 깜짝 놀란적이 있는데요, 의사선생님께 혈압 160 정도면 나타나는 증상이 무엇이냐고 여쭤보니 개인마다 차이가 커서 확정적으로 말할 수 는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두통가 비슷한 증상이 있거나 피로도를 쉽게 느끼는등 일반적인 두통, 어지럼증, 피로감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이것을 간과하고 합병증으로 커진다면 호흡곤란은 물론 가슴통증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하니 절대 방심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어떤 사람의 경우 혈압 160 정도면 나타나는 증상으로 뒷골이 땡기는 증상을 얘기했는데요, 원래 저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의 증상이나 고혈압도 느낄 수 있다고 해요. 저혈압과 다르게 고혈압은 저혈압에서 겪는 증상까지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혈압 측정방법

 

 

나는 젊은데 수치가 높게 나왔다구요? 그렇다면 혈압 측정이 잘못되었을 수 있으니 다시 재측정해봐야 하는데요, 먼저 커피나 흡연, 카페인과 같이 몸의 반응을 일으키는 음식 및 제품을 삼가해야합니다.

 

그리고 측정기에 앉은후 5분이상 휴식하되 아무것도 하지 말고 가만히 있어야합니다. 안정이 되면 2분 간격으로 2번정도 측정하면 올바른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고해요.

 

치료방법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선 약물을 복용하는것도 있지만 가장 적은 비용으로 빠른 치료를 할 수 있는것이 바로 운동이라고 합니다.

 

 

물론 운동을 하는것이 쉽지는 않지만 반복적인 증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데요, 주로 걷기운동이나 빨리걷기, 자전거타기, 수영과 같은 운동을 일주일에 3회이상 해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한번 운동할때 시간은 최소 30분으로 최대 1시간까지 운동해야 부담없이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해요. 중요한것은 약물과 운동을 병행하여 수치가 떨어져도 운동을 계속해야 고혈압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고 하니 힘들어도 오래살고 싶다면 유지해야합니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정말 어려운일인데요, 혈압 160 정도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 궁금할것이 아니라 어떻게 떨어뜨려야 하는지에 대한 것에 관심을 가져야합니다. 건강에 이상이 생겼다면 이제 운동은 어쩔 수 없이 해야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